2024년 도시계획현황 핵심요약(국토부 보도자료)

도시지역에 사는 사람이 이렇게 많다고요?
우리나라 전체 땅에서 도시지역이 차지하는 비율은 약 16.5%에 불과하지만, 국민의 92.1%가 이 도시에 살고 있어요. 다시 말해, 대한민국 국민 10명 중 9명 이상이 좁은 도시지역에 몰려 살고 있는 셈이죠.

인구수 (2024년) 전체 5,122만 명, 도시지역 4,715만 명 (92.1%),비도시지역 407만 명 (7.9%)


    이는 도시 인구 집중 현상이 최고점에 이르렀다는 의미이며, 이제는 성장을 쫓기보다 ‘관리’의 시대로 넘어가고 있다는 분석이 나옵니다.


    우리나라 국토는 크게 다섯 가지 ‘용도지역’으로 나뉘어요. 그중 농림지역이 가장 넓고, 도시지역은 전체의 6분의 1 수준입니다.

    용도지역면적(㎢)전체 대비 비율
    도시지역17,63916.5%
    관리지역27,34225.7%
    농림지역49,18946.2%
    자연환경보전지역11,87211.1%
    미지정지역5250.5%


      도시지역 안에서는 주거지역과 공업지역이 늘어나고 있고, 녹지지역은 조금 줄어들고 있어요. 이는 집과 공장 같은 산업시설에 대한 수요가 늘고 있다는 뜻입니다.

      도시지역 용도2019년 면적2024년 면적증감변화율
      주거지역2,701㎢2,784㎢+83㎢+3.1%
      상업지역338㎢348㎢+10㎢+2.8%
      공업지역1,219㎢1,277㎢+58㎢+4.8%
      녹지지역12,632㎢12,556㎢-76㎢-0.6%


      무분별한 개발을 막기 위해 정부는 2014년부터 ‘성장관리계획구역’이라는 제도를 도입했어요. 특히 2024년에는 공장을 새로 지으려면 이 계획이 필수가 되면서, 한 해 동안 지정 면적이 무려 4배 이상 늘었습니다.

      연도구역 수(개)면적(㎢)
      201965310
      2023336899
      202411,9754,259


        이 변화는 지방 중소도시나 외곽에서 계획 없이 공장이 마구잡이로 들어서는 것을 막기 위한 장치로 볼 수 있습니다.


        건물을 짓거나 땅을 개발할 때 필요한 개발행위허가 건수는 최근 3년간 계속 줄고 있어요. 2024년에는 약 18만 6천 건이었는데, 이 중 절반 가까이는 건물을 새로 짓는 것이었습니다.

        개발유형허가건수 (2024년)비율
        건축물 건축90,76948.8%
        토지형질 변경50,94927.4%
        공작물 설치27,40114.7%
        토지 분할15,9228.5%
        물건 적치6760.4%
        토석 채취3630.2%


          이처럼 개발 속도가 느려지고 있다는 점은 경기 침체, 허가 과정 강화 등 여러 가지 이유가 복합적으로 작용하고 있을 수 있습니다.


          도시군계획시설 중에는 10년 넘게 실행되지 않고 방치된 장기계획들도 있었어요. 그런데 2024년 기준으로 이런 미실행 시설 면적이 63.9% 줄었습니다. 이는 정부가 불필요한 계획은 과감하게 없애면서 현실에 맞는 도시 계획을 중요하게 생각하고 있음을 보여줍니다.

          연도미집행시설 면적(㎢)감소율
          2014943
          2024340-63.9%


            이처럼 계획을 실제로 실행 가능한 수준으로 다듬는 작업은 땅 주인 보호와 도시 환경 정리에 모두 도움이 됩니다.


            ‘2024년 도시계획현황 통계’에 대한 자세한 정보는 다음 사이트에서 확인할 수 있어요.

            토지이음: www.eum.go.kr

            지표누리: www.index.go.kr

            RE100 산업단지는 부동산 시장에 어떤 영향을 줄까?

            이재명 정부의 메가 프로젝트

            댓글 남기기